사단법인 빛소리친구들 주요사업

빛소리친구들은 장애인문화예술 생태계를 육성하고 활성화 시키고자 공연·창제작, 교육· 연구사업, 국제교류, 장애인 문화예술 일자리 발굴·제공이 가능한 포괄적 사업영역을 구축하고 운영해 나가고 있습니다.

공연 · 창제작
2009년부터 시작된 빛소리친구들 정기공연은 장애인무용의 불모지인 대한민국에서 지속적으로 공연활동을 펼치며 장애인무용을 알리는데 선도적인 역할을 해왔습니다.
사단법인 빛소리친구들의 대표 사업인 대한민국장애인국제무용제(KIADA)는 전 세계 장애무용인의 플랫폼을 지향하며, 장애무용의 위상과 가치를 널리 알려나가고 있습니다.
2020년 주요 공연 일정
내용 | 일자/기간 | 시간 | 장소 | 비고 |
---|---|---|---|---|
제8회 대한민국장애인예술경연대회 스페셜K | 07.16(목) | 16:00~17:30 | 노량진 CTS아트홀 | Like the milky way (바디하모니) |
제8회 대한민국장애인예술경연대회 스페셜K Awards | 08.20(목) | 19:00~20:00 | KBS아트홀 | 바다에 뜬 별 (바디하모니) |
2020 장애인문화예술축제 'A+ Festival' | 09.23(수) ~ 09.25(금) | 19:30~20:30 | 자라섬 | 바다에 뜬 별 (바디하모니) / 원 (김정훈, 최종철) / 울림 (김영민, 김은경) |
2020 11회 수류무용제 초청공연 | 10.29(목) ~ 10.30(금) | 토론토 한인회 대강당 | 원 (김정훈, 최종철) / 울림 (김영민, 김은경) | |
한국 · 호주 비대면 국제교류 온라인 워크숍 | 11.16(월) ~ 12.01(화) | 마포중앙도서관 B1 MADE 스튜디오 | 메이드 바디하모니(장애통합반) | |
제5회 대한민국장애인국제무용제 (KIADA2020) | 12.15(화) ~ 12.17(목) | 고양아람누리 새라새극장 | 1차 온라인 공개 12.27(일) ~ 12.29(화) 2차 온라인 공개 1.15(금) ~ 1.17(일) 3차 온라인 공개 2.5(금) ~ 2.14(일) |
2019년 주요 공연 일정
내용 | 일자/기간 | 시간 | 장소 | 비고 |
---|---|---|---|---|
불후의 명곡 - 전설의 노래하다 | 01.05(일) | 18:05 | KBS | 꿈을 꾼다 (류진욱, 김정훈, 이주림, 안정우) |
ESCENA MOBILE 2019 | 04.27(토) | 20:00 | 스페인 세비야 | 낡은 집 (류진욱, 김정훈) |
제4회 대한민국장애인국제무용제 (KIADA2019) | 08.14(수) ~ 08.18(일) | 15:00 / 20:00 | 아르코예술극장 | |
시카고 모멘타 댄스컴퍼니카운터밸런스 페스티벌 | 09.26(목) | 20:00 | 미국 시카고 | 달, 꽃 그리고 빛 (김영민) |
송년 정기기획공연 눈, 꽃 그리고 빛 | 12.30(월) | 19:00 | 창녕문화예술회관 대극장 |
2018년 주요 공연 일정
내용 | 일자/기간 | 시간 | 장소 | 비고 |
---|---|---|---|---|
평창동계패럴림픽 개막식 메인공연 | 03.09 (금) | 평창 | 공존 (빛소리친구들 + 고양시휠체어럭비팀) | |
제3회 대한민국장애인국제무용제 (KIADA2018) | 08.01(수) ~ 08.05(일) | 17:00 / 20:00 | 아르코예술극장 | |
춘천아트페스티벌 | 08.07(화) | 19:30 | 축제극장 몸짓 | 좁은 골목 (김정훈, 우보람) |
2019 장애인문화예술축제 'A+ Festival' | 09.09(월) | 광화문 광장 | ||
빛소리친구들 10주년 정기공연 | 11.06(화) | 20:00 | 고양아람누리 새라새극장 |
2017년 주요 공연 일정
내용 | 일자/기간 | 시간 | 장소 | 비고 |
---|---|---|---|---|
제2회 대한민국장애인국제무용제 (KIADA2017) | 09.07(화) ~ 09.09(토) | 16:00 / 19:30 | 국립극장 달오름·별오름 극장 | |
빛소리친구들 정기공연 '공존' | 12.27(수) | 19:00 | 구로아트밸리 예술극장 |

교육 · 연구
빛소리친구들은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장애인무용 교육 MADE를 장애인전문무용가를 양성하는 동시에 장애무용 전문지도사를 양성하는데 힘쓰고 있습니다.
장애인 예술정책 심포지엄 및 학술프로그램 개최를 통해 장애인예술의 발전 방안을 모색하고 장애공연예술 생태계 구축을 위한 기초 및 심화를 연구하는 사업을 하고 있습니다.

국제교류·협력
장애인 공연예술가들이 해외에서 활동할 수 있도록 해외 장애인공연예술단체 또는 축제와 연계 및 지원을 하며, 해외공연예술 및 무용계의 최신 정보를 교류하며 장애 무용이 더욱 발전 하여 대한민국을 플랫폼으로 하는 대표적인 장애인국제무용제가 되도록 하고 있습니다.

장애인 문화예술 일자리 발굴 · 제공
장애예술인들이 사회구성원으로 역할을 통해 삶의 가치를 발견하고 실현할 수 있도록 청년 장애인무용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.
장애예술인이 전문 무용수로서 활동할 수 있는 공연 참여 환경을 조성하여 장애인전문 예술인을 양성하고, 지속적인 공연 기회를 제공합니다.